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개발한 앱들을 중심으로 해서 실제 앱 출시가 어떤 과정으로 이뤄지는지를 간략히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이 게시글은 전공자나 현업자보다는 취미로 앱을 출시하려 하시는 분들이나 단순히 궁금하신 분들을 초점으로 하여 작성된 게시글이고, 영상 자료와 달리 여러 부연 설명들이 들어갑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사실 어플을 출시하는 데에는 여러 다른 과정들이 필요합니다만, 이 게시글은 '출시' 과정을 초점으로 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Flutter, React Native, Unity를 사용해서 모바일 앱을 개발하며, 네이티브 영역은 따로 조금씩 건드리는 방식으로 개발합니다. 이 점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설명을 영상으로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동영상 혹은 링크를 눌러주세요. 저의 개발자 유튜브 채널의 동영상입니다. https://youtu.be/L5sPALeWQro 0. 배경지식 Android의 경우엔 공식적으로 Java 또는 Kotlin이라는 언어를, iOS의 경우엔 공식적으로 Objective-C 또는 Swift라는 언어를 사용해서 개발하게 됩니다. 하지만 한 명의 인디 개발자가 각각의 OS에 각각 다른 언어를 써서 개발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또한 Android 기기와 iOS 기기의 특성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춰 코드를 짜줘야 합니다. 그런데 구글과 페이스북, Unity에서 코드를 한 번만 써서 Android와 iOS에 동시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개발 엔진을 만들었습니다. 각각 Flutter, React Native, Unity입니다. Flutter와 React Native는 크로스 플랫폼(두 가지 이상의 OS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의 양대산맥이며,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글이나 영상은 다른 곳에 많이 나와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찾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Unity는 게임에 특화된 개발엔진이며, Android와 iOS 외에도 STEAM, PS4,...
댓글
댓글 쓰기